1. 'OSI 7계층'과 'TCP/IP 4계층'은 무엇인가?
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
다른 말로 인터넷을 통해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
OSI 7계층 -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로 나누어 설명
TCP/IP 4계층 -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4개로 나누어 설명
2. 'OSI 7계층 (OSI 7 layer)'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
(1) 각 단계의 핵심 역할
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 |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케이블로 보냄 |
데이터 링크 계층 (Data-Link Layer) | 들어온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 |
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 | 라우팅 기능 (정보를 목적지까지 보내는 경로 중 가장 빠르고 안전한 경로로 전달) |
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 | 정확한 통신을 담당 (오류 탐지 및 복구 등) |
세션 계층 (Session Layer) | 통신 세션을 구성 (인증, 허가, 세션 복구 등) |
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 |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지 정함 (번역,압축,암호화 등) |
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 |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며,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|
(2) 각 단계별 구체적인 역할
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
- 최하위 계층
-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전기 신호(On/Off)로 변경하여 케이블을 통해 상대의 물리 계층으로 전달
- 전송 단위 - 1은 전기 신호로 On / 0은 전기 신호로 Off
- 장비 - 통신 케이블, 허브 등
데이터 링크 계층 (Data-Link Layer)
- 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
- 통신의 오류 탐지 및 복구 수행
- 통신에는 컴퓨터의 고유 번호인 Mac 주소를 사용
- 전송 단위 - 프레임 (Frame)
- 장비 - 브리지, 스위치 등
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
-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(라우팅) 수행
-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
- IP 주소 사용
- 전송 단위 - 패킷 (Packet)
- 장비 - 라우터, layer3 스위치 등
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- 양 끝단(End to end)의 사용자들이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담당
- 패킷 전송의 유효성 파악 및 재전송 등 담당
- 전송 계층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예시는 TCP, UDP 등이 있음
- 전송 단위 - 세그먼트 (Segment)
- 장비 - 게이트웨이(GateWay), layer4 스위치 등
세션 계층 (Session Layer)
- 네트워크 상 양쪽 연결을 관리하고 연결을 지속시킴
- TCP/IP 세션을 생성하고 없애는 역할
- SSH, TLS 등의 프로토콜 사용
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
- 송수신 측 사이에서 데이터의 형식을 정함
- 전달받은 데이터를 번역, 압축, 암호화하여 표준 형식으로 변환함
- JPG, MPEG, SMB 등의 프로토콜 사용
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-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와 직접 연결되어 정보를 입력받아 하위 계층으로 전달
- HTTP, DNS, FTP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
3. 'TCP/IP 4계층'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
(1) 각 단계의 핵심 역할
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 |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며,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|
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 | 송수신자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, 데이터 전달 시 중계 역할 |
인터넷 계층 (Internet Layer) | 네트워크 패킷을 IP주소로 지정된 목적지로 전송 |
링크 계층 (Link Layer) | 실질적으로 데이터 전달 담당, 장치 간의 신호 전달을 위한 규칙을 정함 |
(2) 각 단계별 구체적인 역할
링크 계층 (Link Layer)
- "네트워크 접근 계층"이라고도 함
- 전선, 광섬유, 무선 등을 통해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
-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경하여 전달
- 이더넷(Ethernet), wifi 등의 프로토콜 사용
인터넷 계층 (Internet Layer)
- 장치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패킷을 IP주소로 지정된 목적지로 전송
- 패킷을 수신해야 할 상대의 주소를 지정하여 데이터 전달
- 비연결형적 특징 (상대방이 올바르게 수신했는지를 보장하지 않음)
- IP, ARP, ICMP 등의 프로토콜 사용
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-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,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
-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
- 어플리케이션과 인터넷 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될 때 중계 역할 담당
- TCP, UDP 등의 프로토콜 사용
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-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계층
- HTTP, FTP, SSH, SMTP, DNS 등의 프로토콜 사용
4. 'OSI 7계층'과 'TCP/IP 4계층'의 차이를 비교해보자
두 개 모두 네트워크 통신을 관리하고 표준화한 모델임
OSI 계층은 7단계, TCP/IP 계층은 4단계로 구성되어 TCP/IP가 훨씬 더 간결함
OSI 계층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표준적으로 잘 나타낸 모델이라고 할 수 있고, TCP/IP 4계층은 실제 네트워크 통신에 더 특화된 모델이라고 볼 수 있음
'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Status Code에 대해 알아보자 (1) | 2024.02.09 |
---|---|
GET과 POST를 비교해보자 (0) | 2024.02.04 |
HTTP에 대해 알아보자 (1) | 2024.02.04 |
TCP의 3 Way HandShake (0) | 2024.02.04 |
TCP와 UDP를 비교해보자 (1) | 2024.02.04 |